카이제곱분포는 직접 확률을 구할 때 사용하는 분포가 아니라, 주로 신뢰구간과 가설 검정, 독립성 검정 등에 사용합니다.

     

    파이썬에서도 다음과 같이 카이제곱분포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.

     

    In [13]:

    # NumPy와 SciPy 라이브러리를 호출합니다
    from numpy import linspace
    from scipy.stats import chi2
    
    df = 2                   # 자유도(미지수 개수)
    x = linspace(0, 20, 201) # 0부터 20까지 구간 201개로 분할
    y = chi2(df).pdf(x)      # 카이제곱분포의 확률밀도함수 시각화
     
    # 샘플들을 이용해서 그래프로 출력합니다
    plt.figure(figsize=(10, 6)) # matplotlib에서 figure라는 그림 단위 사용
     
    # plot을 한 개 혹은 여러 개 그려 관리합니다(그래프를 표현할 액자를 만듦)
    plt.plot(x, y, 'b--') # plot(x축 데이터, y축 데이터)꼴로 사용
    plt.xlabel('X')
    plt.ylabel('P(X)')
    plt.grid() # 그리드 형태로 그래프 표현
    plt.title(r'카이제곱 분포')
    plt.show()

     

    신간 소식 구독하기
    뉴스레터에 가입하시고 이메일로 신간 소식을 받아 보세요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