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 수식

     

    수식이란 변수와 상수를 연산자를 이용하여 표현한 식입니다. 예를 들어 x, y 변수와 a, b 상수를 이용하여 수식 1.3처럼 표현할 수 있습니다.

    연산자

    연산을 수행하는 기호(+, -, ×, / 등)이며, 연산자의 작업 대상(변수, 상수 등)은 피연산자가 됩니다. 예를 들어 a + 3이 있을 때 a와 3은 피연산자이며, +는 연산자입니다

     

    수식 1.3

    y = ax + b

     

    파이썬으로 간단한 연산 실습을 해 봅시다.1 먼저 a, b, c 변수를 선언하고, 각각 3, 7, 2 상수를 저장하겠습니다.

     

    In [3]:

    a, b, c = 3, 7, 2

     

    a = 3, b = 7, c = 2일 때 연산자를 이용한 결과를 확인해 보세요. 표 1-2에 실행 결과를 정리해 두었습니다.

     

    연산자

    의미

    예시

    설명

    실행 결과

    +

    더하기

    a + b

    3 + 7

    10

    -

    빼기

    a - b

    3 - 7

    -4

    *

    곱하기

    a * b

    3 * 7

    21

    /

    나누기

    b / a

    7 / 3

    2.3

    %

    나머지

    b % a

    7 % 3

    1

    **

    제곱

    a ** c

    3의 제곱

    9

    //

    a // c

    3을 2로 나눈 몫

    1

    표 1-2 | 파이썬 연산자

     

    수식 종류에는 등식(방정식, 항등식)과 부등식이 있습니다. 이것은 바로 이어서 자세히 다룹니다.

     

     


    1 필자는 이 책의 독자가 파이썬을 어느 정도 안다고 가정했습니다. 파이썬 구현은 간단히 살펴보고, 이 책의 목적인 수학을 익히는 데 집중할 것입니다. 책에 실린 파이썬 코드는 <모두의 파이썬 개정2판>(길벗, 2018) 같은 입문서를 익혔다면 이해하기에 무리 없는 수준입니다.

    신간 소식 구독하기
    뉴스레터에 가입하시고 이메일로 신간 소식을 받아 보세요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