슬라이싱

    슬라이싱(slicing)은 인덱스를 이용해 리스트의 일부분을 떼어내는 것이다. 떼어낸다고 해서 원래 리스트의 내용이 변경되는 것은 아니다. 콜론(:)을 사용해 리스트의 일부분을 잘라내듯이 추출하는 것이다. [시작 인덱스 : 끝 인덱스] 형식으로 슬라이싱을 하는데, 끝 인덱스의 직전 항목까지 가져온다.

    슬라이싱의 몇 가지 예를 살펴보자.

    # [시작 인덱스 : 끝 인덱스]의 형식으로 사용한다
    a = [ 1, 2, 3, 4, 5, 6 ]
    
    # 인덱스 0부터 2 이전까지의 항목을 슬라이싱한다
    print( a[ 0:2 ] )
    
    # 시작 인덱스가 생략되면 0으로 판단한다
    print( a[ :2 ] )
    
    # 끝 인덱스가 생략되면 마지막 인덱스로 판단한다
    print( a[ 2: ] )
    신간 소식 구독하기
    뉴스레터에 가입하시고 이메일로 신간 소식을 받아 보세요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