그럼 지금부터 변수의 자료형을 살펴보기 위해 간단한 실습을 해 보겠습니다.

    type() 함수를 사용하면 변수의 자료형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. 코랩에서 +코드를 누르고 다음과 같이 작성합니다.

    type(hello)   # hello라는 변수의 자료형을 확인합니다.

    실행 결과

    str

    결과를 보니 hello는 문자형 변수(str)라고 알려주네요!

    이번에는 2의 값을 담고 있는 변수 a의 자료형을 살펴보겠습니다.

    type(a)   # a라는 변수의 자료형을 확인합니다.

    실행 결과

    int

    a라는 변수는 정수형 변수(int)임을 알려줍니다.

    a 변수에 다른 값을 넣을 수 있습니다. 실수를 넣은 후 a의 자료형을 살펴보겠습니다.

    a = 2.5    # a라는 변수에 2.5를 넣습니다.
    type(a)    # a라는 변수의 자료형을 확인합니다

    실행 결과

    float

    변수 a에 실수 데이터 2.5를 넣으니, 변수 a는 실수형 변수(float)임을 알려줍니다.

    신간 소식 구독하기
    뉴스레터에 가입하시고 이메일로 신간 소식을 받아 보세요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