결과를 보면 1, 3, 5를 출력합니다. 즉, 간격으로 준 숫자 2만큼씩 띄어서 값을 출력합니다.
예를 하나 더 들어 볼까요? 카페에서 손님들이 차례대로 주문하고, 직원은 주문받은 순서대로 음료를 준비합니다. 음료 제조가 끝나면 손님을 닉네임으로 부릅니다. 이때 손님의 닉네임은 주문받은 순서대로 리스트에 저장합니다.
orders = ["아이언맨", "토르", "스파이더맨"] # 손님 닉네임 리스트
for customer in orders:
print("{0} 님, 커피가 준비됐습니다. 픽업대로 와 주세요.".format(customer))
실행결과 |
아이언맨 님, 커피가 준비됐습니다. 픽업대로 와 주세요. 토르 님, 커피가 준비됐습니다. 픽업대로 와 주세요. 스파이더맨 님, 커피가 준비됐습니다. 픽업대로 와 주세요. |
실행해 보면 닉네임만 다르고 같은 형태로 안내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 이처럼 반복 대상에는 리스트, 딕셔너리, 튜플, 문자열 같은 데이터를 직접 넣어도 되고, 데이터를 담은 변수명을 넣어도 같은 원리로 작동합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