8.2.1 구분자 넣기: sep

    다음 두 문장을 출력해 봅시다.

    print("파이썬", "자바")
    print("파이썬" + "자바")

    실행결과 icon_con

    파이썬 자바
    파이썬자바

    첫 번째 문장은 쉼표로 구분해 문자열을 나열했고, 두 번째 문장은 + 연산자로 문자열들을 합쳤습니다. 실행결과에서는 띄어쓰기를 하느냐 마느냐의 차이로 나타납니다. 이때 쉼표와 + 연산자 외에도 문자열을 구분하는 기호를 사용자가 직접 지정해 출력할 수 있습니다. print() 함수로 출력할 때 sep 매개변수를 사용하면 됩니다. 7.3.3 가변 인자 사용하기에서 본 print() 함수 정의에서 sep 매개변수의 기본값은 공백(" ")이었습니다. 그런데 기본값 대신 다른 값을 넣어 print() 함수를 실행하면 해당 값을 구분 기호로 사용합니다.

     

    TIP | 여기서 sep은 separator의 줄임말입니다.

     

    신간 소식 구독하기
    뉴스레터에 가입하시고 이메일로 신간 소식을 받아 보세요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