useReducer에서의 액션은 그 어떤 값도 사용 가능합니다. 그래서 이번에는 이벤트 객체가 지니고 있는 e.target 값 자체를 액션 값으로 사용했습니다. 이런 식으로 인풋을 관리하면 아무리 인풋의 개수가 많아져도 코드를 짧고 깔끔하게 유지할 수 있습니다.

    코드를 다 작성했으면 App에서 Info 컴포넌트를 렌더링해 보고 잘 작동하는지 확인해 보세요.

    App.js

    import React from 'react';
    import Info from './Info';
     
    const App = () => {
      return <Info />;
    };
     
    export default App;

    신간 소식 구독하기
    뉴스레터에 가입하시고 이메일로 신간 소식을 받아 보세요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