이제 환경 설정 파일은 거의 작성했습니다. 마지막으로 환경변수를 주입하겠습니다.

    config/webpack.config.server.js

    const nodeExternals = require('webpack-node-externals');
    const paths = require('./paths');
    const getCSSModuleLocalIdent = require('react-dev-utils/getCSSModuleLocalIdent');
    const webpack = require('webpack');
    const getClientEnvironment = require('./env');
    
    const cssRegex = /\.css$/;
    const cssModuleRegex = /\.module\.css$/;
    const sassRegex = /\.(scss|sass)$/;
    const sassModuleRegex = /\.module\.(scss|sass)$/;
    
    const publicUrl = paths.servedPath.slice(0, -1);
    const env = getClientEnvironment(publicUrl);
    
    module.exports = {
      (...)
      externals: [nodeExternals()],
      plugins: [
        new webpack.DefinePlugin(env.stringified) // 환경변수를 주입해 줍니다.
      ]
    };

     

    환경변수를 주입하면, 프로젝트 내에서 process.env.NODE_ENV 값을 참조하여 현재 개발 환경인지 아닌지를 알 수 있습니다.

    신간 소식 구독하기
    뉴스레터에 가입하시고 이메일로 신간 소식을 받아 보세요.